Surprise Me!

[여랑야랑]한국당 ‘안 돌아갈래?’ / 송영길이 깃발 든 자발적 기부

2020-04-30 5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미래통합당은 아직도 혼돈 상황인데, 위성비례정당이죠, 미래한국당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고요? <br> <br>어제 현역 의원들과 당선인들이 한자리에 모였는데 아주 화기애애한 모습이었습니다. <br><br><br><br> <br>Q. 통합당이 시끄러우니까 그냥 한국당으로 합쳐 버리자, 이런 얘기 같은데, 어차피 두 당은 합쳐지는 거 아닙니까? <br><br>그게 정상인데, 지금 통합당 지도부가 붕괴되다 보니까 한국당 내에선 진지하게 별도의 교섭단체로 활동하는 게 낫다, 이런 의견이 상당합니다. <br><br><br> <br>[인터뷰: 미래한국당 관계자 ('여랑야랑' 인터뷰)] <br>(별도 교섭단체 구성 의견이) 나오는 게 사실이고, (미래통합당과) 지금 이 상태로 합치는 게 과연 무슨 실익이 있겠느냐. 그래도 합쳐서 좀 시너지를 만들 때 (통합)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.<br> <br>Q. 그러고보면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어제 견제구도 날렸어요? <br> <br>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과의 합당 일정을 확정하면서 이런 경고를 했죠. <br> <br>[영상: 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어제)] <br>미래한국당으로 꼼수 위성 교섭단체를 만들어 21대 국회를 시작부터 파행과 탈법으로 만들지 않을까 우려가 큽니다. (민주당은) 특단의 대응을 취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. <br><br>Q. 저 특단의 대응, 뭘까요? <br><br><br> <br>민주당 관계자는 자신들은 교섭단체를 8개 이상 만들 수 있다, 이렇게 말하던데요, <br> <br>교섭단체를 하나 만들려면 의원 20명이 필요한데, 민주당은 지역구 의원만 163명이니 8개를 만들어도 세 명이 남죠. <br> <br>물론 경고성 메시지일 텐데, 통합당을 배제한 일방적 선거법 개정으로 시작된 꼼수의 악순환이 21대 국회까지 이어지는 게 아닌가 그렇게 우려됩니다. <br><br><br> <br>Q. 다음 주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. 긴급지원금 추경 예산안이 통과된 게 오늘 새벽인데, 여당 의원들은 벌써부터 기부 릴레이 선언을 하고 나섰다면서요? <br> <br>민주당 차기 당권주자 중 한 명이죠, 송영길 의원은 추경이 통과되자마자 SNS에 이런 글을 올렸습니다. <br><br><br> <br>저와 우리 가족은 모두 기부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자발적인 기부운동이 일어나 대한민국에 새로운 감동을! <br> <br>그러자 백혜련 의원과 이정문 당선인 등 민주당 관계자들은 잇달아 지원금을 기부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><br>Q. 그런데 기부가 자발적 기부냐, 논란은 계속 되는 것 같더라고요. <br><br>그렇죠. '관제 기부'가 아니냐, 이런 논란인 건데, 그래서 민주당 지도부는 기부를 해 달라, 이런 메시지는 내지만 기부 캠페인을 열지는 않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Q. 그러면 야당인 통합당 의원들은 기부를 안 합니까? <br> <br>통합당에서도 지원금을 받지 않겠다, 이렇게 공개적으로 밝힌 인물이 있습니다. <br><br>지원금을 받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기부 처리되는데요, <br><br>바로 오늘 추경안 처리 때 반대표를 던진 김무성 의원입니다. <br><br>다만 김 의원은 나쁜 포퓰리즘이라는 이유에서 거부한 거니 민주당 의원들의 반납과는 정반대 의미가 있는 거죠. <br> <br>야당은 기본적으로 지원금 기부 운동에 비판적입니다. <br><br>[영상: 권성동 / 무소속 의원 (지난 28일)] <br>지금 주고 뺏는 거예요. 편 가르기 하는 겁니다. (기부) 안 냈다가 공개돼가지고 망신당하는 거 아니냐, <br>이거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. <br> <br>Q. 그런데 통합당 소속인 조은희 서초구청장은 발 빠르게 기부 의사를 밝혔던데요? <br> <br>서초구는 조은희 구청장과 5급 이상 직원 모두 재난지원금을 기부하겠다, 이렇게 밝혔습니다. <br> <br>통합당 입장에선 굳이 가장 먼저 나설 필요가 있느냐,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, 그렇다고 기부 자체를 <br>막을 순 없겠죠. <br> <br>결국 이번 기부는 여당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 수도, 야당이 브레이크를 걸 수도 없는, 그런 묘한 상황입니다. <br><br><br> <br>기부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는 방법은 딱 하나죠. <br><br>오늘의 한마디는 '정치권이 손 떼면 됩니다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Q. 기업들도 공무원들도 기부를 해야 하나, 하면 얼마나 해야 하나 고민이 많다고 합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